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완벽 가이드|일정·신분증·투표방법·주의사항·사전투표율 총정리

by 디너K 2025. 6. 1.
반응형

그날, 투표소에서 헤매는 일 없도록! 딱 한 번만 보면 끝나는 사전투표 준비 가이드입니다.

 

요즘 뉴스 보면서 "이제 진짜 선거가 다가왔구나…" 실감하셨죠? 저도 며칠 전 집 근처에 걸린 현수막을 보고 깜짝 놀랐어요. 어느새 제21대 대통령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왔더라구요. 특히나 요즘처럼 바쁜 일상 속에서는 본투표 당일보다 사전투표가 훨씬 편하잖아요? 그래서 오늘은 저와 함께 ‘사전투표의 모든 것’을 한눈에 정리해보려고 해요. 신분증부터 투표 방법, 주의사항까지 꼼꼼히 짚어드릴게요. 이번에는 헷갈릴 틈 없이, 자신 있게 투표소에 가보자구요!

 

 

 

 

사전투표 일정과 시간은 언제?

  • 기간: 2025년 5월 29일(목) ~ 5월 30일(금)
  • 시간: 매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사전투표는 별도의 신청 없이 전국에 설치된 사전투표소 어디에서나 가능합니다. 단, 투표소에 따라 관내선거인과 관외선거인으로 구분되며, 이에 따라 투표 절차가 다를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준비물

  •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장애인등록증 등 사진이 부착된 관공서 또는 공공기관이 발행한 신분증
  • 모바일 신분증: 네이버 자격증, 카카오지갑, PASS 앱 등 사용 가능 (캡처 이미지 불가, 앱 실행 과정 보여줘야 함)

사전투표를 통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시기 바랍니다.

어떤 신분증이 필요할까?

신분증 종류 비고
주민등록증 기본 신분증, 가장 보편적
운전면허증 사진과 주민번호 확인 가능
여권 유효기간 내 필수
모바일 신분증 공식 앱(모바일 운전면허증 등)만 가능

 

사전투표 방법 한눈에 보기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방법 한눈에 보기

구분내용
① 투표 기간 2025년 5월 29일(목) ~ 5월 30일(금) 오전 6시 ~ 오후 6시
② 장소 전국 어디서나 사전투표소 (주소지 무관, 전국 단위 가능)
③ 준비물 - 신분증 필수
└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 모바일 신분증(네이버, 카카오지갑, PASS 앱 등) 가능
④ 관내/관외 구분 - 관내선거인: 해당 구·시·군 내 주소자
- 관외선거인: 타 지역 주소자
⑤ 투표 절차 ⬤ 신분증 제시 → 본인 확인
⬤ 관내/관외 여부 확인 후 용지 수령
⬤ 기표소에서 투표
⬤ 투표지 투입 (관내는 바로함에, 관외는 봉투에 넣어 밀봉)
⑥ 유의사항 - 기표는 한 번만 정확히!
- 펜, 연필 사용 금지 (비치된 도장만 사용)
- 투표소 내 촬영 금지
- 투표 내용 타인에게 공개 금지
 

 

관외선거인은 이렇게!

  1. 회송용 봉투 포함 투표용지 수령
  2. 기표 후 투표지를 봉투에 넣어 밀봉
  3. 관외 투표함에 직접 투입

꿀팁

 

사전투표 시 주의사항 총정리

다음은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시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을 총정리한 내용입니다. 사전투표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진행하려면 아래 사항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주의사항 총정리

구분주의사항 설명
🪪 신분증 관련 - 실물 신분증 필수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 모바일 신분증 사용 가능 (PASS, 네이버, 카카오 등)
- 사진 없는 신분증 또는 캡처 이미지는 불가
🗳 투표 방법 - 비치된 **기표용구(도장)**로만 투표 가능 (펜, 연필 등 사용 불가)
- 반드시 한 후보에만 1회 기표
- 투표지는 접어서 지정된 투표함 또는 봉투에 밀봉 후 투입
👥 관내/관외 구분 - 관내선거인: 주소지 관할 내 투표, 바로 투표함에 투입
- 관외선거인: 회송용 봉투 사용, 밀봉 후 투표함에 넣기
🚫 행위 제한 - 투표소 내 촬영 절대 금지 (셀카 포함)
- 투표 내용을 타인에게 공개하거나 SNS 공유 금지
- 기표 후 투표지를 훼손하거나 낙서 금지
시간 엄수 -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마감 이후에는 절대 불가
🧾 기타 주의사항 - 대리 투표 불가 (가족 포함)
- 마스크 착용 의무는 없지만 권장
- 현장 상황에 따라 대기시간 발생 가능
 

안전하고 유효한 투표를 위한 팁

  • 투표 전 사전투표소 위치 및 혼잡도 미리 확인
  • 본인 신분증 실물 꼭 챙기기
  • 주변 소음·사진 촬영 피하고, 비공개 기표에 집중

올바른 한 표가 소중한 내 의견을 반영합니다.
사전투표는 편리하지만, 실수하면 무효표가 될 수 있으니 위 사항을 꼭 체크하세요!

 

 

지난 사전투표율은 어땠을까?

역대 대선 사전투표율 비교

  • 제21대 대선 (2025년): 34.74%
  • 제20대 대선 (2022년): 36.93%
  • 제19대 대선 (2017년): 26.06%

이번 사전투표율은 지난 2022년 제20대 대선 대비 2.19%포인트 낮은 수치입니다.

 

 

지역별 사전투표율

지역별 사전투표율전남이 가장 높은 투표율을 기록하였으며, 대구는 가장 낮은 투표율을 보였습니다.

지역투표율 (%)
전남 56.50
전북 53.01
광주 52.12
세종 41.16
강원 36.60
제주 35.11
서울 34.28
경기 32.88
인천 32.79
대구 25.63
 

 

Q 사전투표는 주소지 밖에서도 가능한가요?

네! 전국 어디서든 지정된 사전투표소에서 가능합니다. 거주지와 관계없이 가까운 곳으로 가면 됩니다.

Q 사전투표는 왜 도입된 건가요?

투표 당일 참여가 어려운 유권자들을 위해 2013년부터 도입됐어요. 참여율을 높이고자 하는 목적도 있습니다.

Q 투표소에서 휴대폰 사용 가능한가요?

줄 서 있는 동안은 가능하지만, 투표소 내부에서는 촬영 및 사용이 금지됩니다. 꼭 꺼두세요.

Q 모바일 신분증도 되나요?

네, 모바일 운전면허증이나 주민등록증 등 공인된 모바일 신분증은 가능합니다. 단, 화면 캡처는 안 돼요!

Q 사전투표도 비밀투표가 보장되나요?

물론이죠! 사전투표도 엄연히 비밀이 철저히 보장되는 투표입니다. 안심하고 참여하세요.

 

이제 사전투표 준비는 끝났어요! 바쁘고 정신없는 일상 속에서도 우리의 소중한 한 표는 절대 포기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저도 이번엔 꼭 사전투표하려고 알람까지 맞춰놨답니다. 혹시 주변에 사전투표가 뭔지 잘 모르는 친구나 가족이 있다면, 이 글을 공유해 주세요. 

 

반응형